5번 문항에서 aggs 타입 중 하나인 moving_fn 이 나왔다!
이동함수라는 뜻으로 매우 생소했음!!
다음과 같은 매개변수를 사용한다고 함
✅ buckets_path: 이동 함수를 계산할 대상 필드의 경로를 지정합니다. 이는 다른 집계 결과를 참조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동 평균을 계산하기 위해 이전 집계 결과인 합계(sum) 값을 참조할 수 있습니다.
✅ window: 이동 함수를 계산할 때 사용할 이동 창의 크기를 지정합니다. 이는 이동 함수를 계산할 데이터 포인트의 범위를 결정합니다. 예를 들어, window 값이 5인 경우, 현재 데이터 포인트와 이전 4개의 데이터 포인트를 사용하여 이동 함수를 계산합니다.
✅ script: 이동 함수 계산에 사용할 스크립트를 지정합니다. 예를 들어, 이동 평균을 계산하기 위해 MovingFunctions.unweightedAvg(values)와 같은 스크립트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스크립트는 이동 함수의 계산 방식을 정의합니다.
GET web_traffic/_search
{
"size": 0,
"aggs": {
"logs_by_week": {
"date_histogram": {
"field": "@timestamp",
"calendar_interval": "hour"
},
"aggs": {
"sum_bytes": {
"sum": {
"field": "bytes_sent"
}
},
"the_movfn": {
"moving_fn": {
"buckets_path": "sum_bytes",
"window": 5,
"script": "MovingFunctions.unweightedAvg(values)"
}
}
}
}
}
}
'Data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Kafka] Core Overview (0) | 2024.04.02 |
---|---|
[Data 수집 및 연동] filebeat, kafka, logstash 사용해서 elasticsearch 데이터 업로드 하는 방법 (1) | 2024.03.19 |
[Elastic Search] Analyzer (tokenizer, char_filter, token filter) (1) | 2024.01.10 |
[Elastic Search] Multi cluster operations (CCR,CCS) (0) | 2024.01.10 |
[Elastic Search] Data Management agenda (ILM,snapshots ...) (1) | 2024.01.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