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버네티스서비스1 [k8s] service 이해하고, yaml 작성하기 ✍🏼 Service파드가 생성될 때마다 새로운 내부 IP를 할당하게 되므로, 클러스터 내/외부와 통신을 계속 유지하기 어렵기에 서비스를 통해 이렇게 동적으로 변하는 파드들에 고정적으로 접근할 수 있게함 .yaml 작성법[참고] https://kubernetes.io/docs/concepts/services-networking/service/// service.yamlapiVersion: v1kind: Servicemetadata: name: my-servicespec: selector: # service의 일부가 되어야하는 개별 pod 정의 app.kubernetes.io/name: MyApp # 해당 레이블을 가진 모든 pod는 이 서비스에 의해 제어 ports: # port 리스트 작성 -.. 2025. 4. 16.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