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elastic.co/guide/en/beats/metricbeat/7.17/load-kibana-dashboards.html
Load Kibana dashboards | Metricbeat Reference [7.17] | Elastic
Load Kibana dashboardsedit For deeper observability into your infrastructure, you can use the Metrics app and the Logs app in Kibana. For more details, see Metrics monitoring and Log monitoring. Metricbeat comes packaged with example Kibana dashboards, vis
www.elastic.co
메트릭비트 대시보드 추가하는 방법은 위 문서를 참고해서 실행해주면 됨!



- CPU Usage Gauge (CPU 사용량 게이지)
- 현재 CPU 사용률을 나타냄
- Memory Usage Gauge (메모리 사용량 게이지)
- 총 RAM 메모리 중 사용하고 있는 메모리 사용률
- 즉, RAM을 얼마나 사용하고 있는지를 나타냄
- Load Gauge (로드 게이지)
- 현재 시스템 로드 평균값
- 5분동안 코어가 얼만큼 돌고 있는지에 대한 것
- 로드란? 실행 대기중인 프로세스와 실제 실행중인 프로세스의 합
- 값이 높을수록 시스템 부하가 큰 것을 의미
- Inbound Traffic
- 현재 인바운드 네트워크 트래픽 속도와 총 전송량을 나타냄
- 인바운드란? 네트워크를 통해 시스템으로 들어오는 데이터 트래픽
- Outbound Traffic
- 현재 아웃바운드 네트워크 트래픽 속도와 총 전송량을 나타냄
- 아웃바운드란? 시스템에서 나가는 데이터 트래픽
- Packetloss
- 인바운드 패킷 손실과 아웃바운드 패킷 손실 갯수
- 패킷이란?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형식화된 데이터 덩어리를 말함
- 네트워크 패킷 전송 중 손실된 패킷의 수를 보여주는 것으로 패킷 손실이 많으면 네트워크 연결 상태가 좋지 않음을 의미
- 인바운드 패킷손실 0 : 네트워크로 들어오는 데이터에는 손실이 없다는 뜻
- 아웃바운드 패킷손실 7,719 : 네트워크로 나가는 데이터 일부가 손실되었다는 뜻으로 네트워크 혼잡, 대역폭 제한, 패킷 드롭 등과 관련있을 수 있음
- Swap usage
- 스왑 사용량
- 스왑이란? 메모리가 부족할 때 디스크의 스왑 공간을 가상 메모리로 활용하는 것을 의미
- Memory usage vs total
- 전체 메모리 중 현재 사용중인 메모리 사용량
- Number of processes
-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 수
- Disk used / Disk Usage
- 총 디스크 공간에서 사용중인 사용률
- SSD, 하드디스크에서 사용되는 저장공간의 양
- CPU Usage
- 시간에 따른 CPU 사용률을 사용자 프로세스, 시스템 프로세스 등으로 구분하여 그래프로 나타낸 것
- nice : 낮은 우선순위 프로세스
- iowait : 디스크 IO 대기시간
- softirq : 소프트웨어 인터럽트 처리
- irq : 하드웨어 인터럽트 처리
- 인터럽트란? 컴퓨터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이벤트 중 하나
- System Load
- 시간에 따른 시스템 로드 평균값을 그래프로 표시하며, 급증하는 부분은 리소스 수요가 높음을 의미
- 1분동안 로드가 얼만큼 돌고있다, 5분동안 로드가 얼만큼 돌고있다 등을 나타내는 것
- Memory Usage
- 전체 메모리 중 사용중인 사용량 차트
- 빨간색 바가 사용된 메모리, 파란색 바가 캐시 메모리(캐싱을 위해 사용), 초록색 바가 사용가능한 메모리를 나타냄
- Disk IO (bytes)
- 노란색 그래프가 디스크의 쓰기 활동을 보여주고, 초록색 그래프가 디스크의 읽기 활동을 보여줌
- 급격한 피크 시 디스크 IO가 높았음을 의미
- reads, writes 옆에 써있는 속도가 최대 속도를 나타낸 것
- Network Traffic (Packets)
- 파란색 그래프가 인바운드, 보라색 그래프가 아웃바운드 패킷 수를 나타냄
- 피크 시 많은 네트워크 패킷이 오갔음을 보여줌
- Inbound, Outbound 옆에 써있는 숫자가 최대를 나타낸 것
- Network Traffic (Bytes)
- 파란색 그래프가 인바운드, 보라색 그래프가 아웃바운드 바이트(트래픽 양) 수를 나타냄
- Inbound, Outbound 옆에 써있는 숫자가 최대를 나타낸 것
- Processes By Memory
- 메모리 사용량이 내림차순으로 표시됨
- 우측에 - 로 되어있는 건 사용량이 없으므로 제외하고 숫자가 써있는 부분을 기준으로 사용량을 보면 됨
- Top Processes By CPU
- CPU 사용량이 높은 프로세스 보여줌
- Interfaces by Incoming traffic
- 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별 인바운드 트래픽량을 표시
- lo0 : Loopback 인터페이스로 시스템 내부에서만 통신하는데 사용
- en0 : 이더넷 인터페이스로 일반적으로 이더넷 케이블을 통해 유선 네트워크에 연결
- awdl0 : Apple Wireless Direct Link 인터페이스로 macOS, iOS 기기 간에 무선으로 직접 통신할 때 사용
- utun : universal tunel 약자로, vpn 연결에 사용될 수 있음, macOS, iOS 기기에서 사용되는 가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 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별 인바운드 트래픽량을 표시
- Interfaces by Outgoing traffic
- 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별 아웃바운드 트래픽량을 표시
'Data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 Redis 주요 성능 지표 ] 자세히 알아보기 (0) | 2024.05.14 |
---|---|
[ metricbeat ] disk IO 부분 필드 추가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방법 (system module 설정) (0) | 2024.04.19 |
[flume 오류] Exception: java.lang.OutOfMemoryError (0) | 2024.04.19 |
[Kafka] Additional Components (0) | 2024.04.09 |
[Kafka] Core Overview (0) | 2024.04.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