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기서 Handler는 Controller를 말하는 것
- Controller는 service 객체로 request받아서 parameter뽑음
- 서비스 객체호출하면 비지니스 실행
1. Http 요청이 들어옴
2. DispatcherServlet은 HandlerMapping으로 요청 전달 : HandlerMapping을 통해 URL에 매핑된 handler(Controller)조회
3. 핸들러 어댑터가 실행되고, 어댑터가 실제 handler를 실행
4. ModelAndView 반환 : handler어댑터는 handler가 반환하는 정보를 ModelAndView 로 변환해서 반환함
5. ViewResolver 호출 : ViewResolver찾아서 실행하고 view반환시킴, jsp로 forward나 redirect함
(★JSP: InternalResourceViewResolver 가 자동등록되어 사용되고 반환됨)
6. View를 통해서 view를 렌더링함
- DispatcherServlet등록해서 모든요청을 한군데로 모음
- Controller 작성은 룰을 지켜 작성(특정메소드는 재정의)
- Controller등록 : 요청 url을 프로퍼티에 등록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Spring Interceptor (스프링 인터셉터) (0) | 2022.09.04 |
---|---|
[Spring] AOP (Spring AOP)란? (0) | 2022.09.02 |
[Spring] DispatcherServlet 개념 (0) | 2022.08.29 |
[Spring] @Annotation 어노테이션이 무엇인가? (0) | 2022.08.26 |
[JSP] Custom Tag <커스텀태그> (0) | 2022.08.21 |
댓글